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파이썬기초

파이썬 기초 - 함수 리턴(return) 사용법과 예제

by 조크리 2023. 10. 16.
반응형

 

파이썬에서 함수는 반복적인 작업을 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지난 글에서는 함수 만드는 방법과 매개변수(parameter)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파이썬 함수 만드는 방법

 

파이썬 함수 만드는 방법

함수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의 집합입니다. 함수를 사용할 때의 장점이 많기에 코드가 길어질 수록 함수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함수를 만드는 방법과 다

creatorjo.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함수의 리턴(return)을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함수 리턴(return)이란?

     

    함수에서 리턴(return)이란 무엇일까요?

     

    출력(print)는 콘솔 창에 나타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리턴(return)은 함수를 실행시켰을 때 어떤 값을 돌려받는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파이썬에서 리턴 값은 함수가 호출될 때 생성된 출력 또는 결과입니다.

    리턴 값은 숫자, 문자, 리스트, 딕셔너리, 튜플 등 모든 데이터 유형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리턴 문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None을 반환합니다.

     

    그럼 리턴 사용 모습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add라는 함수를 만들었고 파라미터로 a와 b를 넣었습니다.

    이 함수는 a와 b를 더해주는 함수이고, 리턴 값으로는 a와 b를 더한 x값을 적었습니다.

     

    함수를 한 번 호출해볼까요?

    add(3,4) 처럼 파라미터 값에는 더해줄 a와 b값을 써주면 됩니다.

    하지만 add(3,4)만 작성한다고 해서 결과값이 출력, 즉 print 되지는 않습니다.

    print를 시켜주고 싶으면 print(add(3,4))라고 적어주어야 하죠. 

    def add(a,b):
      x=a+b
      return x
    
    print(add(3,4))
    print(add(5,6))

     

    return의 예시를 한 개 더 보겠습니다.

    func1(a,b)라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x는 a와 b의 합이고, y는 a와 b의 차입니다.

    이제 x/ y 값을 리턴 받겠습니다.

    그리고 함수를 호출해보겠습니다.

    func1(9,6) 이렇게 호출해도 아무 반응이 없습니다. 출력 명령이 함수 내에 없기 때문이죠.

    print(fun1(9,6))이라고 입력했더니 출력이 됩니다. 9와6의 합인 15, 9와6의 차인 3, 그리고 리턴값인 15/3인 5.0이 출력됩니다. 

    이렇게 return은 함수가 호출될 때 불러오는 결과입니다. 

    def func1(a, b):
      x = a + b
      y = a - b
      return x / y
    
    func1(9,6)
    print(func1(9,6))

     

     

    2. 리턴(return)문 아래 다른 명령어

     

    리턴(return)은 해당 함수를 호출했을 때 최종적으로 불러오는 결과라고 했습니다.

    그럼 return 아래에 명령어를 쓰면 어떻게 될까요?

     

    위에 있는 func1(a,b) 함수를 그대로 가져오겠습니다.

    그리고 return 아래에 print(x * y)라는 명령어를 한 개 더 썼습니다.

     

    def func1(a, b):
      x = a + b
      y = a - b
      return x / y
      print(x * y)
    
    print(func1(9, 6))

     

    이제 함수를 호출해볼까요?

    이 함수를 호출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5.0이 나오고 그 다음 15* 3인 45가 출력될까요?

    결과는 5.0만 나옵니다. 

     

    즉, return 아래에 무엇을 쓰더라도 작동이 안된다는 것이죠!

    함수는 함수를 호출했을 때 return 옆에 써준 값이 최종 결과값으로 나옵니다.

     

    그러니 return문 아래 또 다른 명령어를 쓰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3. 문자열 2개를 합쳐서 문자열의 길이를 출력하는 함수 

     

    자, 그럼 return 문을 사용하는 방법을 보았으니 

    return문을 사용하는 몇 가지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word_length(word1, word2) 라는 함수가 있습니다.

    이 함수는 word1과 word2 문자열 두 개를 합쳐줍니다. 

    그리고 합쳐진 문자열의 길이를 리턴하죠. 

     

    이제 함수를 호출해보겠습니다.

    word_lenth('snue', 'com') 이렇게 호출하고 이 값을 print하면 어떻게 될까요?

    또한 함수를 호출한 것 자체를 변수에 넣고 변수를 print해보겠습니다.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문자열 2개를 파라미터로 입력받아 문자열을 합쳐주고, 그 길이를 구하는 함수
    def word_lenth(word1, word2):
      word = word1 + word2
      #len()은 문자열의 길이를 알려줌
      return len(word)
    
    print(word_lenth('snue', 'com'))
    
    #함수를 호출한 것을 변수로 받음
    new_word = word_lenth('snue', 'comedu')
    
    print(new_word)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snuecom 이라는 문자열이 만들어지고 7이라는 숫자가 출력됩니다.

    두번째로 new_word는 snuecomedu라는 문자열이 만들어지고 10이라는 숫자가 출력됩니다. 

     

     

    이처럼 리턴은 함수에서 늘 사용되는 명령어로

    그 쓰임을 익혀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함수의 다양한 예제를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